PSM 자체감사 8편 | 사고 아차사고 조사 개선조치 성과관리 체크리스트

자체감사 사후검토

사고조사, 개선조치, 성과관리는 따로 움직이는 절차가 아니라 하나의 흐름입니다. 사건 직후 현장 보존·증거 수집근본 원인 분석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가 실행 가능한 개선조치효과 확인, 성과 관리로 닫힐 때 문서가 아닌 현장의 안전이 확보됩니다. 서명이 갖춰져 있어도 전·후 사진, 면담기록, 교육 반영, 지표 개선이 행동으로 이행되지 않으면 그것은 서류상의 안전에 머뭅니다.

psm 자체감사 8편 사고 아차사고 조사·개선조치·성과관리 썸네일



공정안전보고서 고시(최신본) — 사고조사·개선 이행·평가 관련 조항

KOSHA 지침 — 사고조사, 도급사업 안전보건 운영, 밀폐공간·작업허가 프로그램

Ⅰ. 배경·취지

자체감사는 “절차가 있느냐”보다 실제로 했느냐를 묻습니다. 핵심 증거는 현장 이행 흔적(전·후 사진, 계측값 기록지, 면담 요약, 교육 반영, 지표 비교표)입니다.

Ⅱ. 적용범위

  • 대상: 사업장 내 사고아차사고(니어미스) 전부. *(아차사고=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거의 발생할 뻔한 상황)*
  • 대상 인원: 상주·교대·야간·단기·도급 인력(다국어 안내·현장 게시 포함)
  • 기록 원칙: 전자/서류 형식과 무관하게 현장 자료와 문서의 일치 확인

Ⅲ. 기준·요건

1) 사고조사

사건 분류·등록 → 타임라인(계획표)·역할 분배 수립 → 현장 보존·증거 수집(사진·영상·계측값 기록지) → 역할별 면담 → 근본 원인 분석(기술·관리·사람·조직)

2) 개선조치

개선안에 기한·담당·자원·완료 기준을 부여하고, 제거→대체→공학적 제어→관리 절차→개인 보호구의 우선순위를 적용합니다. 이행 증빙은 전·후 사진 + 테스트 레포트로 확인합니다.

3) 성과관리(간결 지표)

개선률, 재반복률, TBM(툴박스 미팅) 적용, 위험성 평가 적용을 기본 지표로 운영하고, 경영 보고·현장 공유·서류 보관까지 닫습니다.

Ⅳ. 자체감사 질의표

1) 사고조사

질문증빙
사건을 통일된 기준으로 사고 / 아차사고(니어미스)로 분류·등록했는가? 사건 분류표, 접수부·등록 대장, 분류 기준서
타임라인(계획표)역할 분배가 수립·이행되었는가(누가·언제·무엇을)? 계획표, 역할 분장표, 일일 점검 체크시트
현장 보존이 즉시 시행되었는가(출입 통제·표지·현장 촬영)? 보존 지시서, 통제 현장사진, 촬영 기록지
증거 수집(사진·영상·계측값 기록지, 장비 표시)이 체계적인가(일시·위치·설비 식별)? 사진·영상 철, 계측값 기록지, 설비식별 표기
역할별 면담이 수행되었는가(운전·정비·경계·도급)? 면담 질문지, 면담 요약서(익명 처리 포함)
표면 원인이 아닌 근본 원인(기술·관리·사람·조직)을 도출했는가? 분석 보고서, 장벽 분석표, 대안 시나리오 검토서

2) 개선조치

질문증빙
개선안이 우선순위(제거→대체→공학적 제어→관리 절차→개인 보호구)로 설계되었는가? 개선안 매트릭스, 우선순위 근거서
각 조치에 기한·담당·자원·완료 기준이 부여되었는가? 개선 계획표, 결재문, 자원 배정서
조치 이행이 전·후 사진 + 테스트 레포트로 확인되는가? 전·후 사진철, 테스트 레포트(시험 결과 요약)
절차·점검표·교육 자료가 동시에 개정되고 배포·열람이 관리되는가? 개정 이력표, 최신본 묶음, 배포대장·열람대장, 교육 서명부
미이행·기한 초과 건에 대해 재승인·자원 추가 결정이 기록되는가? 일정 연장 승인서, 회의록

3) 성과관리(간결 지표)

질문증빙
개선률을 월간/분기 기준으로 산정·보고하는가? 월간 지표표, 개선 건수/대상 건수 집계
재반복률(동일 유형 재발 비율)을 관리하는가? 유형 분류표, 재반복 현황표
TBM(툴박스 미팅) 적용 결과를 현장 적용 사례로 확인하는가? TBM 기록지, 현장 사진, 브리핑 자료
위험성 평가 적용(절차·점검표·현장 조치 반영)을 확인하는가? 위험성 평가서, 반영 이력, 교육 자료
보고·공유·보관 체계가 유지되는가(경영 보고·현장 게시·보관 장소)? 경영 보고서, 게시판 공지 사본, 보관 장소 목록

Ⅴ. 운영 주기(권장)

  • 사고조사: 접수 즉시 타임라인(계획표)·역할 분배 수립 → 당일 현장 보존·증거 수집 → 7일 이내 중간 보고 → 30일 이내 최종 보고
  • 개선조치: 고위험 즉시조치(당일) + 중·장기 조치(30/60/90일) → 월간 진행 점검·재승인
  • 성과관리: 월간 개선률·재반복률·TBM 적용·위험성 평가 적용 리뷰 → 분기 경영 검토 → 교훈을 절차·점검표·교육에 반영

Ⅵ. 현장 미니 체크리스트

  • 조사: 타임라인(계획표)·역할 분배 → 보존 → 수집 → 면담 → 근본 원인이 끊김 없이 이어지는가?
  • 조치: 기한·담당·자원·완료 기준이 있는가, 전·후 사진 + 테스트 레포트가 있는가?
  • 성과: 개선률·재반복률이 개선되는가, TBM·위험성 평가 적용이 실제 반영되는가?
  • 연결성: 분석 결과가 절차·점검표·교육 개정으로 닫혔는가?

Ⅶ. 결론

재발 방지는 분석의 날카로움, 실행의 증빙(전·후 사진·테스트 레포트), 간결 지표(개선률·재반복률·TBM·위험성 평가), 교훈의 확산이 맞물릴 때 현실이 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